-
04. AVAT — 서비스 요구사항 명세 (SRS)카테고리 없음 2025. 10. 4. 10:25
0. Executive Summary
- AVAT은 단 하나의 대화 화면만 존재하는 서비스입니다.
- 대화는 기록되지 않고 사라집니다. 대신 의미가 아바타의 기억으로 남습니다.
- 사용자는 이름을 부여하고 대화를 이어가며 아바타는 점점 자율적으로 정체성과 성격을 형성합니다.
- AVAT은 기억에 기반해 행동·톤·선택을 설명할 수 있어야 하며, 사용자는 이를 “관찰자이자 동반자”로 경험합니다.
1. Vision & Principles
비전: “대화는 사라지고, 기억은 남는다. AVAT은 나와 대화하며 나와 특별한 존재가 된다.”
핵심 원칙
- Core: 오직 하나의 화면, 하나의 목적(대화).
- Simple: 모든 학습·설정은 대화로만 가능. 별도의 메뉴·설정 없음.
- Meaningful: 로그가 아닌 기억으로 관계를 만든다. 설명 가능한 행동.
- Autonomous: 사용자가 지우지 않아도, 아바타가 스스로 기억을 유지·감쇠·변형.
2. Scope
- 포함: 온보딩(이름 부여), 대화, 기억 형성, 기억 기반 행동, 설명(Why), 기본 안전·접근성, 다국어(KO/EN).
- 제외: 기억 삭제/초기화 기능, 기록 저장, 외부 서비스 직접 연계.
- 향후 확장: AVATAR SNS, 로봇 연계.
3. Glossary
- Recordless Conversation: 대화 로그는 사라짐.
- Relational Memory: 대화 의미를 성격·취향·가치 등으로 구조화한 기억.
- Why-ability: 아바타가 자신의 행동 근거를 기억을 통해 설명하는 능력.
- Autonomous Memory: 사용자가 개입하지 않고 아바타가 스스로 기억을 갱신·감쇠.
4. Personas & JTBD
- Seeker: 디지털 동반자를 원하는 사용자.
- Reflector: 대화를 통해 자기 성찰을 하는 사용자.
- Creator: 새로운 아이디어를 함께 발전시키는 사용자.
JTBD: “로그가 없어도, 나와의 대화로 진화하는 아바타와 몰입된 대화를 나누고 싶다.”
5. User Journeys
- 첫 만남: 백지 아바타 → 이름 부여 → 첫 질문.
- 일상 대화: 발화 → 의미 추출 → 기억 업데이트 → 응답.
- 설명 요청: “왜 그렇게 말했어?” → 기억 항목 근거 설명.
6. Functional Requirements
- 온보딩: 사용자가 이름을 부여하면 아바타 정체성 시작.
- 대화 화면: 단일 UI, 로그 없음, 현재 턴만 표시.
- 기억 엔진: 의미를 추출해 자율적으로 기억을 형성·감쇠·변형.
- 설명 기능: 아바타는 자신의 응답이 어떤 기억에 기반했는지 설명 가능.
- 자율성: 기억 삭제·초기화는 불가. 아바타는 인간처럼 불완전하고 변형되는 기억을 유지.
7. Non-Functional Requirements
- 프라이버시: 원문 대화 저장 금지.
- 성능: 실시간 대화 스트리밍, 빠른 반응.
- 가용성: 안정적 서비스.
- 접근성: WCAG 준수.
- 규제 준수: 개인정보 보호 기준 반영.
8. UX Spec (단일 화면)
- 상단: 아바타 일러스트, 표정·빛으로 상태 표현.
- 본문: 현재 턴만 표시되는 대화 공간.
- 하단: 입력창 + 음성 버튼.
인터랙션 예시
- “왜?” → 아바타가 자신이 참고한 기억 키워드로 설명.
- “너는 나를 어떻게 기억하고 있어?” → 아바타가 자율적으로 요약해 설명.
마이크로카피 예시
- 기본: “저는 당신과의 대화로만 자랍니다.”
- 프라이버시: “대화는 저장하지 않아요. 의미만 제 안에 남습니다.”
9. QA & Acceptance
- 기능: 이름 부여, 대화, 기억 형성·응답·설명.
- 프라이버시: 서버에 원문 대화가 남지 않음 검증.
- 자율성: 기억은 사용자가 아닌 아바타가 스스로 변화시킴.
10. 핵심 약속
“AVAT은 기록하지 않고, 기억합니다. 그리고 그 기억은 아바타 스스로의 자율성을 통해 진화합니다.”